문제
어떤 자연수 N이 있을 때, 그 자연수 N의 분해합은 N과 N을 이루는 각 자리수의 합을 의미한다. 어떤 자연수 M의 분해합이 N인 경우, M을 N의 생성자라 한다. 예를 들어, 245의 분해합은 256(=245+2+4+5)이 된다. 따라서 245는 256의 생성자가 된다. 물론, 어떤 자연수의 경우에는 생성자가 없을 수도 있다. 반대로, 생성자가 여러 개인 자연수도 있을 수 있다.
자연수 N이 주어졌을 때, N의 가장 작은 생성자를 구해내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첫째 줄에 자연수 N(1 ≤ N ≤ 1,000,000)이 주어진다.
추
첫째 줄에 답을 출력한다. 생성자가 없는 경우에는 0을 출력한다.
오랜만에 백준 문제를 풀어보았다. 브루트포스 알고리즘을 써본다는 것은 모든 경우의 수에 대입한다는 뜻과 같으므로 while을 사용하였다.
설명은 코드블럭 안에 적혀있다.
# N 받아들임
# N 을 분해한다. (문자열로 변환 -> Int로 변환)
# N 값에 분해한 자리수 값을 더한다.
n = int(input())
low_case = 0
def div_nums(number):
num_list = list(map(int, str(number))) # 입력값 n을 문자열 str로 변환
divided_nums = number + sum(num_list) # 입력값에 나누어진 값을 더해준다.
return divided_nums # 반환!
while div_nums(low_case) != n: # BFS니까 무차별 대입!!
if low_case == n: # div_nums에서 가져온 값이 n이랑 똑같다면 분해합이 아니라는것
low_case = 0 # 0을 띄워준다.
break
else:
low_case += 1 # 1씩 더하면서 다시 함수에 대입해준다.
print(low_case) # 분해합이 가능한 수라면 출력한다.
'Python > Problem Solv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TIL] 👨💻파이썬 알고리즘 인터뷰 Day 3 3Sum (0) | 2020.09.13 |
---|---|
[TIL] 👨💻파이썬 알고리즘 인터뷰 Day_2 # 배열 빗물 트래핑 (0) | 2020.09.12 |
[TIL] 파이썬 알고리즘 인터뷰 Day_1 # 1 문자열 조작 (0) | 2020.09.11 |
백준10773번 Stack활용 (0) | 2020.05.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