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LLM 소규모 스타트업의 수익화 전략과 시장기회 분석
AI/LLM 소규모 스타트업의 수익화 전략과 시장기회 분석
AI/LLM을 활용한 1-5인 소규모 스타트업들이 실제로 어떻게 수익을 창출하고 있는지, 그리고 어떤 시장 기회가 존재하는지에 대한 종합적인 분석 결과를 공유합니다. 2023-2025년 최신 사례들을 중심으로 한국과 글로벌 시장을 모두 포괄하여 조사했습니다.실제 수익을 내고 있는 소규모 AI/LLM 스타트업 사례글로벌 시장의 성공 사례들Chatbase (캐나다)가 가장 인상적인 성과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2023년 2월 혼자 시작한 Yasser Elsaid는 맞춤형 ChatGPT 챗봇 서비스로 5개월 만에 월 6만 4천 달러 MRR을 달성했고, 현재 연 매출 300-400만 달러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프리미엄 플랜($399/월)이 주요 수익원이며, Indie Hackers Supabase 백엔드로 구축해..
-
Electron과 React로 만드는 현대적인 Serial Monitor 앱
Electron과 React로 만드는 현대적인 Serial Monitor 앱
Electron과 React로 만드는 현대적인 Serial Monitor 앱기존의 불편한 시리얼 통신 도구들 때문에 고생해본 적이 있나요? 최근에 하드웨어 제어와 사용자 친화적인 인터페이스를 결합한 현대적인 데스크톱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했습니다. 오늘은 Electron과 React를 사용해서 범용 Serial Monitor 및 디바이스 제어 앱을 만든 여정을 공유하고자 합니다.🎓 개발 계기: 대학원 연구에서 시작된 아이디어대학원에서 하드웨어 관련 연구를 진행하면서 TeraTerm과 Putty 같은 기존 터미널 프로그램들을 자주 사용했습니다. 아두이노, 라즈베리파이부터 시작해서 다양한 마이크로컨트롤러와 통신하는 과정에서 이런 도구들이 충분했지만, 프로젝트가 복잡해질수록 다음과 같은 한계를 느끼게 되었습니다..
-
시스템 판별이란? (System Identification)
시스템 판별이란? (System Identification)
What is the system identification? 시스템 판변이란 측정된 데이터를 수학적 혹은 통계적인 방법을 이용하여 시스템을 파악하는데, 이중, 최적화, 모델 차원축소등의 방법을 이용한다. Input-output vs output-only 시스템 판별은 Input과 output을 동시에 사용하여 판별하는 방법 (eigensystem realization algorithm) 혹은 output의 데이터만을 이용하는 방법(frequency domain decomposition)이 있다. 보통 input-output 데이터를 동시에 사용하여 모델링을 진행한다. Optimal Design of experiments Design of experiments - Wikipedia Type of Syst..
-
Bode Plot, Margin에 대하여
Bode Plot, Margin에 대하여
Bode Plot은 Linear Time Invariance (LTI) 시스템의 주파수 응답 특성을 그리는 그래프 중 하나이다. Bode Plot에 나타낼 것은 바로 Frequency에 따른 Magnitude와 Phase이다 x축 ⇒ log frequency scale 즉 주파수를 log scale로 표현 y축 ⇒ Magnitude(크기)는 단위가 dB이며, 아래 그래프의 Phase(위상)의 단위는 degree이다. 상단의 그래프를 Magnitude Plot으로 명칭하는데, 주파수 평면 상에서 시스템의 크기를 의미한다. 하단의 그래프는 Phase Plot으로 Phase Shift을 의미한다. dB란..? $$ 20log_{10}\frac {V_{out}} {V_{in}} $$ 입출력의 비(Transfer..
-
PID 제어기란?
PID 제어기란?
기본 작동 원리 대표적인 고전 제어시스템으로 PID 컨트롤러가 있다. PID는 (Proportional-Integral-Derivative)의 약자로 P, I, D Term에 error e(t)가 곱해져 출력이 나오는 형태이다. Setpoint = r(t) Measured Process Variable (PV) = y(t) Error = e(t) = r(t) - y(t) Control Variable = u(t) Term P P항은 e(t)에 비례한 값에 곱해져서 제어하고자 하는 대상의 System Input이 되는 항이다. e(t)가 커진다면 P항은 마찬가지로 증가하게 된다. 이런 특성으로 인해 P항을 Gain 으로 칭하고 “K”로 부른다. P항만 있어도 제어하고자 하는 대상의 Output을 얻을 수 ..
What's Hot?
-
Bode Plot, Margin에 대하여
Bode Plot, Margin에 대하여
2022.11.29Bode Plot은 Linear Time Invariance (LTI) 시스템의 주파수 응답 특성을 그리는 그래프 중 하나이다. Bode Plot에 나타낼 것은 바로 Frequency에 따른 Magnitude와 Phase이다 x축 ⇒ log frequency scale 즉 주파수를 log scale로 표현 y축 ⇒ Magnitude(크기)는 단위가 dB이며, 아래 그래프의 Phase(위상)의 단위는 degree이다. 상단의 그래프를 Magnitude Plot으로 명칭하는데, 주파수 평면 상에서 시스템의 크기를 의미한다. 하단의 그래프는 Phase Plot으로 Phase Shift을 의미한다. dB란..? $$ 20log_{10}\frac {V_{out}} {V_{in}} $$ 입출력의 비(Transfer..
-
토익 독학으로 800점 초반에서 2주 만에 900점 넘긴 후기 그리고 Part별 팁 그리고 공부법
토익 독학으로 800점 초반에서 2주 만에 900점 넘긴 후기 그리고 Part별 팁 그리고 공부법
2020.02.28토익 독학하는 법에 관해서 쓰려고 합니다. 물론 저보다 영어를 잘하시는 분은 세상이 엄청나게 많습니다. 혼자 공부하고자 하는 사람들을 위해서 써보겠습니다. 저는 참고로 지방 공대생이고 한번도 영어학원/인강을 수강해본 적이 없습니다. 그렇다면 토익을 준비하는데 필요한 팁들을 알려드리겠습니다. 1. 기본적인 팁 1-1) 필요한 책들 기본서 (Reading & Listening) 해커스 및 ETS 공식 기출문제집 기본서: 저는 해커스 빨갱이&파랭이를 기본서로 사용하였으며 4주간 책 안에 쓰여있는 4주 공부 스케줄을 따라 공부했었습니다. 처음 토익을 시작한 시기는 군생활중이었습니다. 하루의 일과시간이 끝나면 밥 먹고 6시부터 9시 그리고 청소시간이 끝난 후 10시 30분부터 12시까지 4주간 매일 공부하였습니다..
-
제어 시스템의 종류
제어 시스템의 종류
2020.05.02기말고사를 대비한 제어시스템 정리글입니다. 제어시스템에는 두가지 종류가 있습니다. 하나는 Open Loop system 이고 다른 하나는 Closed Loop System입니다. Open Loop System은 다음과 같습니다. Input 그리고 컨트롤러 컨트롤과정 그리고 Output으로 구성됩니다. 전공에서 보면 컨트롤과 컨트롤 과정 사이에는 Disturbance가 있지만 위 사진에는 없습니다. Input을 Reference R, 컨트롤을 U, Disturbance(방해?)를 W 그리고 Output은 Y로 놓습니다. 이런 Open-Loop System에서는 시스템 자체에서 시스템을 보정하는게 아닌 외부에서 직접 관찰하고 Input을 조절해야합니다. 예를들어 저가형 토스터는 열을 발생시켜주는 장치와 타이..
-
🎇Atmega128 4 digit 7 segment 제어하기
🎇Atmega128 4 digit 7 segment 제어하기
2021.01.22마이크로프로세서를 사용한 제품에서 숫자 표기장치로 제일 많이 사용하는 부품은 7-Segment(FND : Fluorescent numeric display, 형광 숫자 표시기)이다. FND는 숫자를 표기하기 위해 LED소자를 7개로 구성되어있다. LED소자 7개로 숫자를 표현하기때문에 7-Segment라고 부른다. 소수점을 포함하는 DP단자까지 표현하면 총 8개의 LED로 구성되어있다. 7-segment는 Common cathode type과 Common anode type으로 나뉘는데 전자는 전원을 GND에 연결하고 소자에 0이라는 신호가 들어와야 LED가 점등되지만 후자는 전원을 VCC에, 소자에는 1이라는 신호를 입력해야 LED가 켜진다. 위 스펙은 7-segment의 모델마다 다르기 때문에 Dat..
-
[Arduino] 아두이노로 자작자동차 속도계 및 온도계 제작하기
[Arduino] 아두이노로 자작자동차 속도계 및 온도계 제작하기
2020.10.15현재 10월 말, 11월 초에 있을 자작전기차 대회를 위해 전기자동차를 제작하는 중입니다. 사실 본의아니게 들어온 자동차 동아리이지만...(캔위성 대회 준비하면서 장소 빌려쓰다가...) 속도계랑 온도계를 만들게 되었습니다. 대략적인 모습은 이렇습니다. 좌측의 노란색 7-세그먼트가 각각 속도와 바퀴의 RPM을 표시해줍니다. 가운데에 위치한 빨간 7-세그먼트는 모터와 모터컨트롤러의 온도계를 표시합니다. 현 사진의 상태는 K-type Thermocouple이 연결되어있지 않아 Erro신호를 보내도록 설계하였습니다. 밤에보면 이런모습입니다. 사실 속도계를 만드는 과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준비물 : 2x 아두이노 프로 미니 (5V) , IR 장애물 탐지 모듈, 4x 7-Segments, 2x MAX6675, 정신..
-
캔위성 대회 후기
캔위성 대회 후기
2020.08.118월 6일 고흥에 위치한 한국 항공우주연구원에서 캔위성 발사를 진행하였습니다. 캔위성은 다음과 같은 로켓발사체에 실려 고도 500m정도에서 자동으로 페이로드가 분리되어 낙하하게 됩니다. 제가 속해있던 팀의 미션은 다음과 같았습니다. 캔위성에서 탐지 신호 및 GPS, 자이로 신호를 송신하면 지상국에서는 이를 받아 시각화 해주기로 했습니다. 지상국은 좌측사진의 대회측에서 제공하는 소프트웨어가 있고, 우측은 제가 직접 만든 지상국 소프트웨어입니다. 기존 계획은 대회측에서 제공한 소프트웨어를 사용하고자 했으나 대회시작 전 막바지에 지상국을 세팅하면서 여러가지 어려움에 봉착하여 새로 만드는게 시간절약을 할 수 있다 생각하여 제작하였습니다. 발사는 다음과 같이 진행되었습니다. 우선 지상에서 최종적으로 필요한 세팅을..